심야 배송지역을 더 섬세하게 나누기
심야 배송지역을 더 섬세하게 나누기
심야 배송지역을 더 섬세하게 나누기
Oracle Spatial과 네이버 맵을 연동한 좌표 통합 및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
Oracle Spatial과 네이버 맵을 연동한 좌표 통합 및 위치 기반 서비스 고도화
Services
Services
개발
개발
Tech Spec
Tech Spec
Oracle Spatial, Naver map polygon
Oracle Spatial, Naver map polygon



현장 중심의 물류 환경에서는 위치 정확도가 곧 서비스 품질과 직결됩니다. 특히 배송기사의 실시간 배송할당과 심야 수거 가능 지역 운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공간 좌표 처리와 지도 플랫폼 간 정합성 확보가 핵심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Oracle Spatial, 네이버 지도 API, 그리고 좌표 통합 기술을 활용하여 현장 중심의 위치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좌표 불일치로 인한 데이터 정합성 문제
시스템 설계 이전,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웹·앱 지도, Oracle DB, 그리고 외부 행정 데이터 등에서 서로 다른 좌표 체계(EPSG 코드)를 사용함.
이로 인해 배송 위치, 수거 가능 지역, 실제 위치 좌표 간 정합성에 심각한 차이가 발생함.
배송기사 위치 추적 및 할당 기능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경로 안내가 잘못되는 경우가 잦았음.
구체적인 문제점
Oracle DB는 기본적으로 EPSG:4326(WGS 84)을 기반으로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일부 외부 데이터는 TM 좌표계 또는 UTM-K 등 다른 체계를 따르고 있었습니다.
네이버 지도 API는 WGS 84를 지원하지만, 앱 내 위치기반 기능과의 실시간 연동에서 좌표 변환이 필요했습니다.
심야 수거 지역의 행정경계 정보 또한 좌표계가 혼재되어 있어 시각화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졌습니다.
좌표 통합과 공간 연산 최적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1. 다양한 좌표 체계 분석 및 표준화
먼저, 내부 및 외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좌표 체계를 수집하고 EPSG 코드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반에 적용할 공통 좌표 기준(EPSG:4326 - WGS 84)을 확정하였습니다.
2. 좌표 변환 기술 적용
좌표계를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접근을 적용했습니다:
모든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 후, GIS 도구로 좌표계 변환(예: EPSG:5179 → EPSG:4326)을 수행했습니다.
Oracle DB 내에서는 SDO_CS.TRANSFORM 함수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계를 변환했습니다.
네이버 지도 API 연동 시에도 동일한 EPSG:4326 기준으로 마커, 폴리곤 등을 처리하였습니다.
3. Oracle Spatial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 처리
Oracle Spatial의 강력한 공간 연산 기능을 적극 활용하였습니다:
SDO_GEOMETRY 객체를 활용하여 배송 주소 및 기사 위치를 공간 객체로 저장.
SDO_WITHIN_DISTANCE, SDO_RELATE 함수를 사용해 배송 가능 지역 판별.
공간 인덱스(SPATIAL INDEX)를 생성하여 빠른 거리 연산 및 포함 여부 확인 가능하게 구성.
[ 저장시 SDO_GEOMETRY 사용 예시 ]
SDO_GEOMETRY( 2003, -- 2D 폴리곤 4326, -- 좌표계 (WGS 84) NULL, SDO_ELEM_INFO_ARRAY(1, 1003, 1), -- 외부 링 시작점, 폴리곤 타입 SDO_ORDINATE_ARRAY( 127.0310, 37.4970, 127.0340, 37.4970, 127.0340, 37.4995, 127.0310, 37.4995, 127.0310, 37.4970 ) )
4. 네이버 지도 폴리곤 기능 연동
수거 가능 지역은 행정 경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폴리곤 데이터셋을 DB에 저장.
앱에서는 Oracle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이버 지도에 동적으로 폴리곤을 그리는 기능을 구현.
배송기사가 지도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거 가능 구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UX 설계.
배송기사 배송할당 및 심야 수거 지역 관리

배송기사 배송할당 시스템
기사의 현재 위치 좌표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배송지를 실시간 할당.
DB 내 위치정보는 Oracle Spatial을 통해 정규화된 공간 객체로 관리.
거리 기반 자동 할당 알고리즘을 통해 운행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심야 수거 지역 시각화 및 운영 기능
관리자는 수거 가능 시간대, 지역별 수거 우선순위 등을 기준으로 특정 폴리곤만 활성화 설정 가능.
배송기사는 앱에서 현재 수거 가능한 구역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바로 이동할 수 있음.
장애물이 있는 구간, 폐쇄 도로 등 예외 구역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기술적 설계 포인트
모듈화된 좌표 변환 컴포넌트를 별도로 구성하여 유지보수성 확보.
좌표계 혼합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전처리 단계에서 좌표 정규화를 의무화.
Oracle Spatial의 공간 관계 연산(SDO_RELATE, SDO_INTERSECTS)을 통해 복잡한 공간 조건도 정밀하게 처리.
지도 API와 DB 간 데이터 연동을 위한 GeoJSON 변환 로직을 구축하여, 지도 시각화와 DB 저장 구조를 완전히 분리하였습니다.
기대 효과 및 실제 성과
1. 지도 정합성 향상
서로 다른 좌표계로 인해 발생하던 위치 오차를 제거.
모든 공간 데이터를 EPSG:4326 기준으로 통일하여 정확한 지도 연동 구현에 성공.
2. 배송기사 위치기반 할당 정확도 향상
배송기사가 실제로 위치한 지역과 배송지 간 거리를 정밀하게 계산 가능.
경로 안내 및 배송 구역 할당의 정확도 대폭 향상.
3. 심야 수거 가능 지역 시각적 관리 가능
수거 가능 지역을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현장 운영의 효율성 향상.
앱을 통한 실시간 구역 안내로 인해 배송기사의 혼란 감소 및 오작동 방지.
4. 유지보수성과 확장성 확보
좌표 변환 및 공간 연산 기능을 모듈화하여 향후 타 플랫폼 도입 시에도 적용 가능.
공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아키텍처로 확장 구조 확보.
위치 기반 서비스의 본질은 "정확도"
이 프로젝트를 통해 다시금 확인한 사실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좌표 정합성 확보가 얼마나 중요한가입니다.
단순한 좌표 표시 이상의 기술이 요구되며, 다양한 시스템과 플랫폼 간 연계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좌표계와 정확한 공간 데이터 처리가 필수입니다.
배송기사의 효율적 운영과 시민의 편의를 동시에 고려한 이번 시스템은 향후 스마트 물류 및 공간 데이터 기반 서비스의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
현장 중심의 물류 환경에서는 위치 정확도가 곧 서비스 품질과 직결됩니다. 특히 배송기사의 실시간 배송할당과 심야 수거 가능 지역 운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공간 좌표 처리와 지도 플랫폼 간 정합성 확보가 핵심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Oracle Spatial, 네이버 지도 API, 그리고 좌표 통합 기술을 활용하여 현장 중심의 위치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좌표 불일치로 인한 데이터 정합성 문제
시스템 설계 이전,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웹·앱 지도, Oracle DB, 그리고 외부 행정 데이터 등에서 서로 다른 좌표 체계(EPSG 코드)를 사용함.
이로 인해 배송 위치, 수거 가능 지역, 실제 위치 좌표 간 정합성에 심각한 차이가 발생함.
배송기사 위치 추적 및 할당 기능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경로 안내가 잘못되는 경우가 잦았음.
구체적인 문제점
Oracle DB는 기본적으로 EPSG:4326(WGS 84)을 기반으로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일부 외부 데이터는 TM 좌표계 또는 UTM-K 등 다른 체계를 따르고 있었습니다.
네이버 지도 API는 WGS 84를 지원하지만, 앱 내 위치기반 기능과의 실시간 연동에서 좌표 변환이 필요했습니다.
심야 수거 지역의 행정경계 정보 또한 좌표계가 혼재되어 있어 시각화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졌습니다.
좌표 통합과 공간 연산 최적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1. 다양한 좌표 체계 분석 및 표준화
먼저, 내부 및 외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좌표 체계를 수집하고 EPSG 코드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반에 적용할 공통 좌표 기준(EPSG:4326 - WGS 84)을 확정하였습니다.
2. 좌표 변환 기술 적용
좌표계를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접근을 적용했습니다:
모든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 후, GIS 도구로 좌표계 변환(예: EPSG:5179 → EPSG:4326)을 수행했습니다.
Oracle DB 내에서는 SDO_CS.TRANSFORM 함수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계를 변환했습니다.
네이버 지도 API 연동 시에도 동일한 EPSG:4326 기준으로 마커, 폴리곤 등을 처리하였습니다.
3. Oracle Spatial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 처리
Oracle Spatial의 강력한 공간 연산 기능을 적극 활용하였습니다:
SDO_GEOMETRY 객체를 활용하여 배송 주소 및 기사 위치를 공간 객체로 저장.
SDO_WITHIN_DISTANCE, SDO_RELATE 함수를 사용해 배송 가능 지역 판별.
공간 인덱스(SPATIAL INDEX)를 생성하여 빠른 거리 연산 및 포함 여부 확인 가능하게 구성.
[ 저장시 SDO_GEOMETRY 사용 예시 ]
SDO_GEOMETRY( 2003, -- 2D 폴리곤 4326, -- 좌표계 (WGS 84) NULL, SDO_ELEM_INFO_ARRAY(1, 1003, 1), -- 외부 링 시작점, 폴리곤 타입 SDO_ORDINATE_ARRAY( 127.0310, 37.4970, 127.0340, 37.4970, 127.0340, 37.4995, 127.0310, 37.4995, 127.0310, 37.4970 ) )
4. 네이버 지도 폴리곤 기능 연동
수거 가능 지역은 행정 경계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폴리곤 데이터셋을 DB에 저장.
앱에서는 Oracle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이버 지도에 동적으로 폴리곤을 그리는 기능을 구현.
배송기사가 지도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거 가능 구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UX 설계.
배송기사 배송할당 및 심야 수거 지역 관리

배송기사 배송할당 시스템
기사의 현재 위치 좌표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배송지를 실시간 할당.
DB 내 위치정보는 Oracle Spatial을 통해 정규화된 공간 객체로 관리.
거리 기반 자동 할당 알고리즘을 통해 운행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심야 수거 지역 시각화 및 운영 기능
관리자는 수거 가능 시간대, 지역별 수거 우선순위 등을 기준으로 특정 폴리곤만 활성화 설정 가능.
배송기사는 앱에서 현재 수거 가능한 구역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바로 이동할 수 있음.
장애물이 있는 구간, 폐쇄 도로 등 예외 구역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기술적 설계 포인트
모듈화된 좌표 변환 컴포넌트를 별도로 구성하여 유지보수성 확보.
좌표계 혼합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전처리 단계에서 좌표 정규화를 의무화.
Oracle Spatial의 공간 관계 연산(SDO_RELATE, SDO_INTERSECTS)을 통해 복잡한 공간 조건도 정밀하게 처리.
지도 API와 DB 간 데이터 연동을 위한 GeoJSON 변환 로직을 구축하여, 지도 시각화와 DB 저장 구조를 완전히 분리하였습니다.
기대 효과 및 실제 성과
1. 지도 정합성 향상
서로 다른 좌표계로 인해 발생하던 위치 오차를 제거.
모든 공간 데이터를 EPSG:4326 기준으로 통일하여 정확한 지도 연동 구현에 성공.
2. 배송기사 위치기반 할당 정확도 향상
배송기사가 실제로 위치한 지역과 배송지 간 거리를 정밀하게 계산 가능.
경로 안내 및 배송 구역 할당의 정확도 대폭 향상.
3. 심야 수거 가능 지역 시각적 관리 가능
수거 가능 지역을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현장 운영의 효율성 향상.
앱을 통한 실시간 구역 안내로 인해 배송기사의 혼란 감소 및 오작동 방지.
4. 유지보수성과 확장성 확보
좌표 변환 및 공간 연산 기능을 모듈화하여 향후 타 플랫폼 도입 시에도 적용 가능.
공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아키텍처로 확장 구조 확보.
위치 기반 서비스의 본질은 "정확도"
이 프로젝트를 통해 다시금 확인한 사실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좌표 정합성 확보가 얼마나 중요한가입니다.
단순한 좌표 표시 이상의 기술이 요구되며, 다양한 시스템과 플랫폼 간 연계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좌표계와 정확한 공간 데이터 처리가 필수입니다.
배송기사의 효율적 운영과 시민의 편의를 동시에 고려한 이번 시스템은 향후 스마트 물류 및 공간 데이터 기반 서비스의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